새소식


소식

홈 > 소식 > 새소식
새소식

군, 대북 확성기 방송 전면 중지 (2025. 6. 11.)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25-06-12 12:15 조회63회

본문

군, 대북 확성기 방송 전면 중지


  •  이광길 기자
  •  
  •  승인 2025.06.11 18:00
 

대통령실, “남북 군사대치 완화와 신뢰회복 물꼬 트기 위한 조치”

11일 오후 브리핑하는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 [사진 갈무리-MBC 유튜브]
11일 오후 브리핑하는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 [사진 갈무리-MBC 유튜브]

군이 11일 오후 대북 확성기 방송을 전면 중지했다.

이재명 대통령이 ‘이날 오후 2시를 기해 전방 지역에 설치한 대북 확성기 방송을 중지하라’고 군 당국에 지시한데 따른 것이다. 지난해 6월 ‘북한의 오물풍선 살포’에 대응한다며 대북 확성기 방송을 재개한지 1년만이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이번 조치는 남북관계의 신뢰회복과 한반도 평화정착을 위한 정부의 의지에 따라 이뤄진 것으로 이재명 대통령이 대선과정에서 국민께 약속드린 바를 실천한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북한의 소음방송으로 피해를 겪어온 접경지역 주민들의 고통을 덜기 위한 실질적 조치”라고 강조했다. 

강 대변인은 “이재명 대통령은 최근 북한의 중대한 도발이 없었던 상황에서 긴장완화를 위한 선제적 조치로 이번 결정을 내렸고 이는 남북 간 군사적 대치 상황을 완화하고 상호신뢰 회복에 물꼬를 트기 위한 조치”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이재명정부는 앞으로도 국민의 안전과 한반도 평화라는 두 가지 원칙을 중심에 두고 관련 사안들을 신중하게 검토하고 조치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대북 확성기는 오늘 오후 2시에 중지됐다”고 확인했다. “(북한과의) 사전협의는 없었다”고 선을 그었다. ‘대남 소음방송 중지 등 북한의 호응이 없을 경우 대응책’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오물풍선 살포’는 이미 중단된 상태다. 

이에 앞서, 10일 통일부 당국자는 ‘납북자피해가족연합회’에 유선으로 전단살포 중단을 요청했다고 밝혔다. 전날에는 구병삼 대변인이 “한반도 상황에 긴장을 조성하고 접경지역 주민의 생명과 안전을 위협할 수 있으므로 전단 살포 중지를 강력히 요청한다”고 공개적으로 밝혔다.

한편, 인천광역시 강화군은 11일 저녁 ‘국방부 대북방송 중단 결정에 대한 입장’을 통해 “정부의 결정을 환영한다”고 반겼다.
 
“그동안 군민들께서 대북방송 중단을 요청했고, 강화군도 군민들의 뜻을 받들어 정부와 국회를 찾아 대북방송 중단을 지속적으로 요청해 왔다. 이제야 결실을 맺게 되었다”며 “이 결정으로 북한의 대남 소음공격이 중단되어 군민들이 일상으로 돌아갈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재명 정부, 잇단 대북 유화책으로 ‘관계 회복’ 손짓…북 호응할지 주목


입력 2025.06.11 21:16

수정 2025.06.11 21:17

  • 정희완·강연주 기자 roses@kyunghyang.com

군 ‘대북 확성기 방송’ 중지

이재명 정부, 잇단 대북 유화책으로 ‘관계 회복’ 손짓…북 호응할지 주목

‘대북정책’ 대화·평화에 방점
보수층 ‘저자세’ 비판 불 보듯

이재명 정부가 11일 군사분계선 일대 대북 확성기 방송을 전격 중지하면서 대화와 평화에 방점을 둔 대북정책 추진에 속도를 내고 있다. 선제 조치를 통해 긴장을 완화하고 관계를 복원하고 싶다는 메시지를 북한에 발신한 것으로 해석된다. 북한도 대남 확성기 방송을 중지해 호응할지 주목된다. 

합동참모본부는 이날 오후 이재명 대통령의 지시에 따라 접경지역 모든 전선에서 대북 확성기 방송을 중지했다. 이 대통령은 대선 후보 시절부터 대북·대남 확성기 방송 중지 등을 통해 남북관계 개선의 실마리를 찾겠다고 공약했다. 이 대통령은 지난 4일 취임사 격인 ‘국민께 드리는 말씀’에서도 “평화가 경제”라며 “아무리 비싼 평화도 전쟁보다 낫다”고 밝혔다. 

정부는 대북 확성기 방송의 원인이 된 북한의 오물 풍선이 지난해 11월 이후 날아오지 않고 있는 점 등을 고려했다. 또 대북 확성기 방송에 맞대응하는 대남 소음 방송으로 인해 접경지역 주민들이 피해를 호소하는 상황도 감안했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북한의 (대남) 소음 방송으로 인한 접경지역 주민의 고통을 덜기 위한 실질적 조치”라고 말했다. 

정부는 출범 일주일 동안 대북 유화 조치를 잇달아 진행하면서 윤석열 정부와 차별화된 대북정책 기조를 명확히 나타내고 있다. 앞서 통일부는 지난 9일 대북전단 살포 중단을 “강력히 요청한다”며 지난 정부의 입장을 바꿨다. 한반도 긴장 완화를 통해 남북관계 복원에 시동을 걸겠다는 의도로 해석된다. 나아가 향후 북한과 미국이 대화를 추진하기 위한 여건 마련에도 기여하겠다는 포석으로 풀이된다. 

정부의 이번 선제 조치에 북한이 어떻게 나오느냐가 관건이다. 북한의 대남 소음 방송은 대북 확성기 방송을 북한 주민이 듣지 못하도록 방해하는 데 목적이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정부가 이번 조치로 북한의 대남 방송 명분을 제거한 만큼 북한도 중단할 가능성이 거론된다. 그러면 경색된 남북관계를 개선할 대화 등 접촉의 동력이 마련될 수 있다. 2023년 4월부터 단절된 남북 연락 채널과 지난해 6월 효력이 정지된 남북 9·19 군사합의 복원 추진에도 탄력을 받을 수 있다. 

일각에서는 지난 3월과 이달에 각각 서해와 동해에서 표류하다 구조된 북한 주민 7명의 송환 문제에 주목한다. 정부는 유엔군사령부를 통해 이들을 돌려보내겠다는 뜻을 전달했지만 북한은 답변하지 않고 있다. 북한이 응답해 이들을 데려간다면 남북 사이 긍정적인 신호로 여겨질 수 있다. 

북한이 아직 대남 방송을 중단하지는 않았다. 북한이 정부의 손짓을 무시하고 대남 방송을 이어간다면, 정부는 ‘대북 저자세’라는 보수층의 비판을 받을 수도 있다. 정부의 대북정책이 첫 단추부터 꼬일 수 있는 셈이다. 정부가 대북 확성기 방송의 ‘중단’이 아닌 ‘중지’라는 표현을 쓴 것에는 향후 북한의 행보에 따라 방송을 재개할 수 있다는 뜻이 담긴 것으로 분석된다. 북한은 2023년 말 남북을 ‘적대적 두 국가’로 규정하고 대남 단절 조치를 지속하고 있다. 


브라우저 최상단으로 이동합니다 브라우저 최하단으로 이동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