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소식

홈 > 소식 > 자료실
자료실

<이산상봉의 역사>1985년부터 2010년까지 19차례 2만5천명 만나 (2014. 2. 21)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18-07-19 13:21 조회6,072회

본문

1985년부터 2010년까지 19차례 2만5천명 만나
이산상봉의 역사
한겨레 이승준 기자 메일보내기

이산상봉의 역사

분단의 그늘에서 남몰래 눈물을 훔쳐온 남북 이산가족들이 1985년 처음으로 다시 만난 뒤 29년의 세월이 흘렀다. 이번까지 19차례에 걸쳐 상봉 행사가 열렸지만 이마저도 남북관계에 따라 심한 부침을 겪었다.

 

1950년 6·25전쟁으로 헤어진 가족들의 생사 확인은 1956년에 처음 이뤄졌다. 대한적십자사가 ‘실향사민 실태조사’를 통해 북한에 7034명의 생사 확인을 요청했고, 북한은 337명이 생존해 있다는 회신해 왔다. 그러나 곧바로 상봉으로 이어지지는 못했다.

 

공고한 남북대치에 가로막혀 있던 이산가족 상봉은 1985년에 처음 이뤄졌다. 그해 9월20일, 남쪽에서 35가족, 북쪽에서 30가족이 ‘고향 방문단’이란 이름으로 평양과 서울을 방문해 만났다. 이에 앞서 1983년 <한국방송>에서 방영한 ‘이산가족 찾기’는 453시간45분의 연속 방송으로 <기네스북>에 오르기도 했다.

 

이후 다시 15년간 진전이 없던 이산가족 상봉은 2000년 김대중 전 대통령과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정상회담을 하면서 다시 물꼬가 트였다. 2000년 8월15~18일, 3박4일 간 제1차 이산가족 상봉 행사를 시작으로 2007년까지 해마다 한두 차례의 행사가 열렸다.

 

하지만 2008년 이명박 정부가 들어선 뒤 이산가족 상봉 행사는 다시 남북관계에 따라 심한 부침을 겪었다. 2008년 금강산에서 북한군이 남쪽 관광객 박왕자씨를 사격해 숨지게 하면서 이산가족 상봉도 8년 만에 또다시 중단됐다. 2009년과 2010년엔 각각 17차, 18차 이산가족 상봉 행사가 다시 열렸지만, 결국 천안함 침몰, 연평도 포격 사건에 따른 이명박 정부의 대북 강경책으로 그 뒤 3년이 넘도록 중단돼 왔다. 그러다 남쪽의 정부가 바뀌고 난 지난해 6월 북한 조국평화통일위원회가 개성공단 재가동과 금강산 관광 재개 회담을 제안하면서 다시 불씨가 살아났다.

 

1985년부터 2010년까지 모두 19차례 열린 이산가족 상봉 행사에서 가족을 만난 사람은 남북을 통틀어 2만5000명에 불과하다. 통일부의 이산가족 등록 현황을 보면 이산가족 상봉 신청자는 12만9287명으로 이 가운데 5만7784명이 이미 세상을 떠났다.

 

이승준 기자 gamja@hani.co.kr

 


상봉 신청 12만9264명중 5만7784명 이미 세상떴다
현대경제연 ‘긴급 보고서’
매년 최소 6600명 상봉해야
살아 만나볼 기회라도 잡아
한겨레 하어영 기자기자블로그

현대경제연 ‘긴급 보고서’
매년 최소 6600명 상봉해야
살아 만나볼 기회라도 잡아

분단 상황에서 북에 둔 가족을 만나지 못하고 세상을 뜨는 이산가족이 연간 2200여명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현재 생존한 이산가족들이 생애 단 한번이라도 북의 가족을 만나려면 상봉규모를 매년 6600명 이상으로 늘려야 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20일 현대경제연구원이 내놓은 <80세 이상 고령 이산가족을 위한 긴급 대책> 보고서를 보면, 1988년 이후 2013년 말까지 등록된 이산가족 상봉 신청자는 총 12만9264명으로 집계됐다. 이가운데 절반에 가까운 44.7%인 5만7784명은 이미 사망했으며, 남은 7만1480명(55.3%)이 북쪽에 남은 가족들과의 상봉을 기다리고 있다. 특히 2003년 이후 사망자 수는 매년 평균 3800명에 달하나, 상봉자 수는 1600명에 불과했다. 연간 2200명에 달하는 이산가족들이 상봉하지 못하고 사망한 것이다. 2008년부터 2013년까지 6년간 이산가족 상봉률은 1.2%포인트 증가한 반면, 사망률은 14.1%포인트나 증가했다.

 

보고서는 평균기대여명(50~60대 24.4년, 70~80대 9.6년)으로 추산해 볼 때 이산가족 중 70대 이상 고령층은 10년 내에 대부분 사망한다고 내다봤다. 따라서 최소 상봉인원을 매년 6600명 이상으로 늘려야 현재 생존자들이 상봉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된다는 것이다. 이는 산술적인 계산으로 고령이 대부분인 이산가족의 개별적인 사정을 고려하면 상봉의 긴급성은 더해진다. 보고서는 우선적으로 이산가족의 전면적인 생사확인을 위해 남북한 이산가족정보 통합시스템 구축을 제안했다.

 

이용화 현대경제연구원 선임연구원은 “80대 이상의 평균기대수명을 넘어선 이산가족은 긴급 특별상봉을 추진해야 한다. 또 대면상봉 이외에도 생사확인, 서신교환, 화상상봉 등 다양한 방식을 고려할 수 있다”며 “특히 금강산 이산가족면회소를 상시적으로 운영해야 한다. 금강산 이산가족면회소를 통해 이산가족의 생사 확인 등 상시적인 정보 교환이 이뤄질 수 있다”고 말했다.

 

하어영 기자 haha@hani.co.kr

이산가족 상봉, 이 속도로가면 85년 걸린다

한겨레

지난해 9월19일 이산가족 상봉을 엿새 앞두고 상봉을 기다리던 91살 김영준 할아버지가 노환으로 별세했다. 60여년의 한맺힌 기다림이 단 6일을 앞두고 무너진 것이다. 평양에 살았던 김 할아버지는 6·25 전쟁 때 인민군으로 참전했다 남한에 정착했고, 곧 금강산에서 동생들과 딸을 만날 예정이었다. 그러나 김 할아버지가 살아 있었더라도 당시 가족을 만날 수는 없었다. 남북 당국이 금강산 관광 재개 등을 둘러싸고 기싸움을 벌이다 결국 9월 이산가족 상봉을 무기한 연기했기 때문이다.

 

 ■ 이산가족 다 만나려면 85년 걸려 현재 남쪽 이산가족이 7만1000여명에 이르지만, 한 해 이산가족 상봉 인원은 840명 꼴에 머물고 있다. 이 속도라면 남쪽 모든 이산가족이 북쪽 가족을 만나려면 약 85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이산가족 고령화가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어 폭넓은 만남이 필요하다는 요구가 나온다.

 

 <한겨레>가 통일부와 대한적십자사의 이산가족 통합시스템을 분석한 결과, 1988년 이산가족 상봉 신청을 받은 이래 지난해 말 현재 남아있는 생존자는 7만1480명에 이른다. 특히 고령화가 심각하다. 생존자의 52.8%인 3만7769명이 80살 이상이고, 90살 이상도 11.1%인 7950명에 이른다. 2013년 남한 평균 수명이 79.55살인 점을 감안하면 하루가 시급한 상황이다.

 

 사망자는 점점 늘고 있다. 1988년 이래 26년 동안 사망자 수는 5만7000여명으로 연평균 2074명에 이른다. 최근 6년동안만 집계하면 평균 3714명으로 늘어난다. 20여년 새 두배 가까이 늘어난 것이다. 현재 추세가 지속된다면 20년 뒤에는 이산가족 상봉 대기자가 수천 여명 대로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사망자 수가 급증하는 것과 달리 상봉 속도는 지지부진하다. 남북은 2000년 8월15일 첫번째 이산가족 상봉을 한 이래 2014년 1월까지 모두 18차례 이산가족 상봉을 했다. 이 기간 동안 남한 이산가족은 총 1874가족 1만1800명, 북한은 1890가족 6186명이 상봉을 이뤘다.

 

 특히 남북 관계에서 화해와 협력을 추구했던 김대중·노무현 정부 때 이산가족 상봉이 집중됐다. 전체 남한 이산가족 1만1800명의 90.4%인 1만673명이 2000년 8월부터 2007년 10월 사이에 북쪽 가족을 만났다. 이명박 정부 때(2008~2012년)는 5년 동안 단 두 차례, 모두 1127명만이 상봉의 기회를 가졌다. 박근혜 정부에서는 정부 출범 1년이 다 되어 가지만 아직 이산가족 상봉을 하지 못하고 있다.

 

 ■ 이산가족 상봉에 남한이 더 적극적인 이유 이산가족 상봉에는 남한이 더 적극적인 자세를 보여왔다. 주로 남한이 상봉 요구를 하면, 북한은 이를 수용하는 모습이다. 지난해 9월 진행된 이산가족 상봉 논의도, 남한은 인도적인 이유를 들어 적극적으로 요구했지만 북한은 ‘금강산 관광 재개’와 연계하는 태도를 보였다.

 

 이런 차이는 남북간 경제·정치적 차이 때문에 발생한다. 우선 이산가족 상봉은 북한에 경제적인 부담을 지운다. 남한의 경우 공고만 내면 이산가족이 스스로 알아서 준비하고 찾아 오지만, 북한은 이들을 찾아서 소집해야 하고 일정 기간 동안 합숙을 하면서 교육도 시켜야 한다. 영양 보충과 함께 의류와 소지품 등도 준비해 주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세현 원광대 총장(전 통일부 장관)은 ‘통일 토크’라는 책에서 “이산가족 상봉이 남한에는 별 부담이 안되지만 북한에는 상당한 부담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산가족 상봉은 정치적으로도 북한에 불리한 주제이다. 체제 경쟁에서 뒤쳐진 북한 입장에서, 남한에 가족을 둔 북한 주민이 늘어나는 것은 반가운 일이 아니다. 반면 남한의 경우 이산가족 상봉이 이념을 떠나 정부의 치적으로 여겨진다는 점에서 정치적으로 불리할 게 없는 주제이다.

 

 이런 이유 때문에 북한은 종종 이산가족 상봉을 남한과의 막힌 문제를 푸는 지렛대로 사용하곤 한다. 남쪽의 요구를 들어주는 대가로 북한이 원하는 다른 사안을 요구하는 것이다. 한 통일부 당국자는 “참여정부 시절 겉으로 드러나진 않았지만 이산가족 상봉과 식량·비료 지원 등이 상당 부분 연결돼서 지원되곤 했다”고 말했다.

 

 ■ 이산상봉의 역사…대면·화상·편지 등 이산가족 상봉은 분단 40년 만인 1985년 최초로 이뤄졌다. 당시 이산가족 고향방문단 50명, 예술공연당 50명 등 총 151명이 서울과 평양을 동시에 방문했다. 그러나 이 만남은 한차례 일시적으로 이뤄진 뒤 중단됐고, 15년 뒤인 2000년까지 별다른 진전을 보지 못했다.

 

 이산가족 문제의 해결은 2000년 ‘6·15 공동선언’을 계기로 본격화된다. 김대중 대통령과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적극적인 태도를 보이면서 남북 양쪽에서 100가족씩 서로의 가족을 찾는 방식의 이산가족 상봉이 실시된다. 2003년에 남북은 화상 상봉에도 합의했다. 이산가족 상당수가 고령으로 장거리 이동이 여의치 않고 북한이 이산가족 상봉 준비에 부담을 느끼는 점을 고려한 조치다. 화상상봉은 2007년까지 7차례 실시돼 남북 양쪽에서 3748명이 만났다. 2008년 2월에는 ‘이산가족 영상편지 교환’에 합의해, 각각 20가족씩 영상편지를 교환했다. 2008년 7월에는 금강산에 이산가족면회소가 준공됐다. 그러나 이후 남북간 긴장 고조로 이산가족 상봉이 줄어들면서 2009년과 2010년 두차례 쓰여졌다.

 

최현준 기자 haojune@hani.co.kr

 


브라우저 최상단으로 이동합니다 브라우저 최하단으로 이동합니다